본문 바로가기
미 국 주 식/마이크로소프트 [MSFT]

마이크로소프트 배당금 입금, 미국 5월소비자물가 8.6%, 나스닥 3.52%↓

by 어쩌다장투 2022. 6. 11.
반응형

안녕하세요 어쩌다장투입니다 🌟


마이크로소프트 배당금

오늘은 마이크로소프트 배당금이 들어왔습니다.
배당금은 실질적으로 통장에 꽂히는 금액 세후 17.39 달러.
마이크로 소프트는 분기배당을 주고 있습니다. 한 주당 배당금은 2.48달러로 이번분기에는 주당 0.62달러를 지급했네요.
배당률은 현시가 기준으로 0.98%로 저조한 편입니다.

아래는 최근 1년간 해외주식 배당금내역입니다.
2021년 6월부터 현재까지 1년동안 세후 352달러를 받았습니다.


최근들어 투자금액 대비 저조한 배당금이라는 생각을 많이 하고 있어서 배당률을 높히는 방안에 대해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차피 투자하는 거 배당률도 높히면 일석이조 아니겠습니까,,,ㅎㅎ



"장기투자 + 배당투자"

자본주의 사회에서 월급만으로는 살아갈 수 없기에 부동산, 주식, 비트코인 등 다양한 투자를 평생 해야한다 생각합니다. 주식투자 내에서도 단기, 스윙, 배당 투자 등 다양한 투자법이 있죠.


투자 초반기에는 단기적으로 매수매도를 이어왔고 그렇게 아무것도 모르던 저도 수익을 냈었습니다. 근데 시간이 흐르면서 피로감이 높아졌고 시장이 안좋으면 수익은 당연히 낼 수 없었어요. 애초에 남들도 다 돈 벌 때 벌린거니까..내가 잘해서 그런게 아니고..

그렇게 저는 투자의 방향을 잡아가고 있던거죠.
이후에 꾸준한 장기투자가 더 높은 수익과 안정감을 줄 것이라 판단하여 미주식을 거래할때는 장기투자를 염두하고 거래하고 있습니다.


제가 지금 29살이니 짧게 보더라도 30대 중반쯤을 바라보고 투자를 하는 중이죠.

참고로,,, 장기투자- 장기투자- 말은 쉽지만 정말 어렵습니다. 고난 없는 장투는 없겠더라구요. 정말 '수량만 늘리자' 라고 마음 먹어도 해보신 분은 알겠지만.....저는 어렵더라구요..ㅋㅋㅋㅋㅋ
크게 월봉으로 봤을때 우상향이지 일봉, 주봉으로 따져보면 천국과 지옥을 오갑니다ㅎㅎ멘탈관리 잘 해야하죠...


이런 장기투자를 이어가면서 배당수익까지 꾸준히 난다면 더할 나위가 없습니다. 주식을 보유하는 동안 몇 년, 몇 십 년을 받아 먹을꺼니까요.

고배당주는 배당은 높은편이지만, 원금 보존의 확률이 많이 낮은 편이라 매수하길 꺼리게 됩니다. '안전한 고배당주'란 없습니다. 배당을 8%씩 줘도 원금이 반토막나면 쓸모없으니까요.

배당성장주는 주가와 배당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종목으로, 배당률은 2~5%정도 하는 종목입니다.
코카콜라, 펩시, 월마트, P&G와 같은 필수소비재들이 배당성장주에 속합니다. 필수소비재는 식음료, 교통, 통신, 의료 등 경기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종목들을 일컫습니다.
이런 종목 외에도 제가 고른 몇 가지를 보자면,


1) 금융회사인 [제이피모간 체이스]도 배당주로써 우상향을 보여주는 종목입니다. 월봉으로 보면 패턴이 보입니다.
배당률은 2.3%로, 주당 배당금 또한 최근 11년간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제이피모간 월봉


2)[애브비]는 미국의 대표적 제약회사이며, 배당 수익률은 3.8%로 꽤 괜찮은 편입니다.
차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애브비 월봉


3) 마지막으로 제가 투자중인 [리얼티인컴]은 부동산리츠로, 월배당을 지급하는 배당주로 유명한 종목입니다.
일정기간 횡보를 하고 있어서 그 안에서 매수만 잘 이루어지면 괜찮은 배당주라 생각합니다. 저는 주로 65달러 근방에서 매수를 하고 있습니다. 배당수익률은 4.49%.

아래에 신한금융투자에서 제공하는 배당관련 정보를 보면 주당 배당금이 꾸준히 상승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배당 수익률도 꽤 높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저는 최근에 배당 욕심이 생겨서 모은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모아가야죠 이제부터.

 

 

나스닥 3.52% 하락, 소비자물가지수 8.6% 41년만에 최고

어제인 6월 10일 간밤에 5월 소비자 물가지수가 발표되었고, 예상치 8.3% 를 웃도는 8.6%가 나왔으며, 이는 198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라 합니다. 시장은 지난 4월과 같은 8.3%를 예상했는데 그보다 더 높았을뿐더러 41년만의 최고 수치이기에 시장은 당연히 털썩 주저앉았습니다. 참고로 3월은 8.5%를 기록했습니다.

이번 발표로 인해 미연준은 고강도 금리인상을 계속 이어갈 것으로 보이고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빅스텝에 이어 자이언트 스텝도 염두하지 않을까 싶네요. 하지만 또 지난 달이였나 파월의장이 자이언트 스텝에는 선을 긋는 발언을 해서 빅스텝에 그치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요.. 너무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시키면 기업의 투자심리가 축소된다는 부작용도 있으니... 흠..돌고 도는 악순환이겠습니다.

무튼 오늘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덕분에 제 보유종목은 하루동안 이렇게 파랗게 되었습니다.
이번 하락은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의 하락폭이 컸다는 점에 유의해야겠네요. 각각 3.8%, 4.4% 하락을 했습니다.

리얼티인컴은 65달러가 보여서 오늘 몇 주 매수했습니다.


개인적으로 보유종목 중 아쉬운 점은 SOXL과 TQQQ를 왜 샀냐,, 도대체 왜,,,
나 진짜 안전한 투자 지향하는 사람인데,,, 장기적으로~~~ 멀~~리 보는 사람인데..ㅎㅎ
욕심 생겼나봐요. 그게 이렇게 나를 괴롭히네^^
아래 기사처럼 난 중독된걸까?

 

3배 레버리지 중독된 서학개미, 기술주 3배 추종 FNGU·BULZ도 인기 - 시사저널e - 온라인 저널리즘의

[시사저널e=이승용 기자] 서학개미들이 기술주에 투자하는 3배 레버리지 상장지수증권(ETN)인 FNGU과 BULZ를 집중 매수하고 있다.FNGU와 BULZ는 나스닥100 지수를 3배로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인 TQQ

www.sisajournal-e.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