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0일 밤에 미증시에서의 큰 이벤트가 있었습니다. 바로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인 CPI가 발표된 것인데요. 매달 발표하는 수치이지만 지난 달의 9.1% 상승이 41년만의 최고치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이번 달에 발표될 CPI에 많은 이목이 집중되었습니다. CPI는 인플레이션의 변동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수로 판단되는데 이번 발표에서 7월 CPI 상승률은 예상치보다 낮은 전년 동기 대비 8.5% 상승으로 지난달 수치인 9.1%보다 크게 둔화됐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의 예상치는 8.7% 였는데 예상치보다도 더 낮게 발표된 것입니다. 전년 동기 대비 수치는 감소했으나 아래 차트를 보면 전월 대비 등락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네요.

이번 CPI 지수 발표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찍은 것이 아닌가라는 의견에 힘을 싣게 되었습니다. 8.5%가 결코 낮은 수치는 아니지만 지난달보다 낮아진 상승률에 인플레이션이 하락 추세로 돌아갔으며, 올 하반기까지 계속 하락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주요 지수들이 일제히 큰 폭 상승했습니다. 애플은 2.62% 상승, 마이크로소프트 2.43%, 테슬라 3.89%, 엔비디아 5.92%, 메타 5.82% 등으로 주요 기술주들이 큰 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일명 '인플레 정점론'으로 안도 랠리가 펼쳐지지 않을까 기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난 글에서 '금리 인상시기에는 현금 보유량이 적고 빚이 많은 성장주, 기술주들이 힘을 못쓴다' 하였는데 소비자물가지수가 둔화됨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지났으며 이제 하락할 것이다 즉, 금리인상이 낮아질 것이 예상됨에 따라 이러한 기술주들이 상승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참고 글: [금리 인상 시기에 유리한 종목]
하지만 국제유가의 하락으로 인한 CPI 상승률 하락인 것이지 실질적으로 물가가 하락한게 아니라는 의견도 존재합니다. 에너지가 4.6%, 휘발유는 지난달 대비 7.7% 떨어졌기 때문에 그 영향으로 CPI 지수가 둔화됐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인플레이션이 하락 추세로 돌아갈 것이라 안도하기는 아직 이르다는 분석입니다.
9월 FOMC 회의와 금리인상
원래 이번 9월 20일에 있는 FOMC 회의에서 0.75%p인상인 자이언트 스텝이 예상되었지만 CPI가 발표된 이후에 0.5%p인 빅 스텝에 그칠 확률이 더 높아졌습니다. 미 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를 낮출 것이라 예상되고 있는 것인데, 그동안 연준은 인플레이션 둔화가 확실히 확인된다면 금리인상 속도를 완화할 수 있다고 밝혀 왔습니다. 이번의 물가상승률 둔화로 인플레이션의 정점은 지났다는 의견이 시장 전반에 깔리면서 금리인상 속도 조절에 기대감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것입니다.
최근 6월과 7월에 두 차례 연속 자이언트 스텝을 밟은 미 연준이 이번엔 한 발 물러설지 기대가 되는 부분입니다.
미국은 일 년에 8번 미 연방준비위원회가 FOMC 회의를 거쳐 미국의 기준금리를 발표합니다. 지금까지 2022년 1월과 3월, 5월, 6월, 7월 총 다섯 번을 진행했고, 앞으로 세 차례 더 남아있습니다. 회의는 화요일에 시작해 수요일에 끝이 나고, 회의가 끝나면서 결과를 발표합니다. 남은 FOMC 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 9월 20~21일
- 11월 1~2일
- 12월 13~14일
이처럼 이번 7월 CPI 발표로 인해 시장에는 인플레이션 정점론이 넓게 깔렸지만 한 차례의 둔화로 인플레이션을 평가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은 편이고 앞으로 주거비와 의료비, 임금의 상승은 여전히 예상되기 때문에 안도할 수 없다는 것이죠.
다음 달인 9월 13일에 다시 8월의 CPI가 발표되는데 거기에서도 둔화의 흐름이 보인다면 인플레 정점론에 훨씬 더 많은 힘을 실을 수 있지 않을까 기대됩니다.
즉, 9월 13일에 있는 미국 8월 CPI 지수 발표에서 좋은 결과가 나온다면, 일주일 뒤에 있는 9월 FOMC 회의에서 빅 스텝의 확률이 많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네요.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주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신재생에너지 관련주: NEE, SEDG, ENPH, ALB, AES (0) | 2022.08.29 |
---|---|
미국주식에 투자해야는 이유: 꾸준한 우상향 차트 (0) | 2022.08.15 |
꾸자사모 주식 투자, 장기적인 투자 전략 (1) | 2022.08.07 |
주식 포트폴리오 어플 '더 리치' (2) | 2022.08.02 |
2022년 7월 금리인상 자이언트스텝 (7) | 2022.07.28 |
댓글